웹 서핑을 정신없이 하다 보면 음악이나 사운드가 자동으로 재생되는 사이트들이 꽤 있습니다. 그러다 보면 스피커에서 노랫소리도 나오고 정신없이 이야기하는 이상한 잡음도 들리고 그래서 브라우저를 모두 종료하면 간단한 일이지만 웹서핑 도중 중요한 정보나 중요 사이트를 모두 끌 수는 없습니다.
그럴 때 간단하게 크롬 브라우저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아래 이미지와 같이 여러 탭이 있는데 이곳에서 소리 나오는 모양의 아이콘이 표시된 사이트는 소리가 나오는 사이트입니다.
최근에는 원격으로 수업을 듣는 분들도 꽤 많기에 스피커에서 다른 소리가 섞여서 들리면 꽤 방해받는 경우도 있는 것 같습니다.
위처럼 노래나 소리가 나오는 사이트를 X 버튼으로 탭을 종료하면 되지만 필요하시다면 잠시 소리를 음소거 하실 수도 있습니다. 아래 이미지와 같이 소리가 나오는 크롬 브라우저 탭에서 마우스 오른쪽 버튼을 누르시면 메뉴가 나오는데 여기서 사이트 숨기기를 선택하시면 됩니다.
그럼 아래 이미지와 소리가 나오는 아이콘 모양의 소리가 꺼졌다는 아이콘으로 변경이 되며 소리가 음소거 되어 들리지 않으니 편합니다. 다시 소리를 듣게 하고 싶으시면 마우스 해당 탭을 마우스 오른쪽 버튼을 누르셔서 사이트 숨기기 취소를 선택하시면 음소거 되었던 소리가 다시 들리게 됩니다.
웹서핑을 자주 하시면서 크롬 브라우저에 많은 사이트 탭 중에서 소리가 나오는 브라우저가 어디에 있는지 궁금하셨거나 크롬브라우저에서 소리를 잠시 음소거 하는 방법이 필요하셨던 분들은 참고하시면 좋을 듯합니다.
개인적으로 브라우저나 문서 작업을 할 때 키보드에 있는 Home/End/Page Up/Page Down 키를 자주 사용합니다. 물론 이 기능은 휠 마우스로 일정 부분 가능하기도 합니다만 업무에 필요한 자료 조사나 정보를 빠르게 확인하기 위해서는 마우스보다는 키보드로 조작하는 게 더 편한 것 같습니다.
브라우저에서 페이지 다운, 페이지 업 버튼을 활용해 일정 페이지의 스크롤을 내리거나 올릴 수 있으며 홈버튼과 엔드 버튼을 통해 웹페이지의 상단이나 하단으로 한 번에 이동되어 편합니다.
얼마 전 크롬 브라우저를 이용해 키보드 페이지 업, 페이지 다운, 홈버튼, 엔드 버튼이 크롬 브라우저에서 페이지 이동이 안 되더군요. 휠 마우스를 이용해 웹페이지 스크롤을 하니 크게 신경 쓰지 않으려 했는데 조금 불편했습니다.
페이지 업 다운 버튼뿐만 아니라 홈 버튼을 누르게 되면 페이지 최상단으로 이동되긴 하지만 제작된 웹 사이트에 따라 상단으로 페이지 이동이 안 되기도 합니다. 이전엔 어떤 페이지든 페이지 최상단이나 하단으로 이동하기 위해 홈버튼과 엔드 버튼을 잘 이용했습니다.
이런 경우 굳이 크롬 브라우저를 삭제하고 재설치하지 마시고 설정에서 간단히 확인해 보시면 됩니다. 먼저 크롬 브라우저 상단 오른쪽 점 3개로 이루어진 메뉴 버튼을 누르시고 설정 메뉴 선택.
왼쪽 설정 메뉴 중 접근성 메뉴를 선택하시면 텍스트 커서로 페이지 탐색 메뉴가 활성화 돼 있습니다. 활성화되어 있는 텍스트 커서로 페이지 탐색 기능을 비활성화 해주시면 됩니다. 저는 키보드를 닦다가 저도 모르게 눌려서 활성화되었나 봅니다. 기본적으로 비활성화되어있는 기능이지만 단축키가 자주 사용할만한 F7로 되어 있으니 HOME/END/Page Down/Page Up 키보드 버튼이 브라우저에서 정상적으로 사용되지 않는다면 확인해 보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자주 사용하지 않을 수 있지만 크롬 브라우저를 사용하시면서 홈/엔드/페이지다운/페이지업으로 웹 페이지 스크롤이 되지 않는 분들이 있다면 참고 하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빠르고 정확한 시간에 도착할 땐 지하철을 자주 이용하지만 개인적으로 버스 타는 것을 더 선호합니다. 그래서 버스를 이용하는 경우가 자주 있는데 버스 도착 시각이 궁금했던 경우가 많았던 것 같습니다. 그럴 때마다 실시간 버스 앱을 다운 받아야 하고 타야 하는 버스 번호에 따라 어떠한 앱을 다운받아야 하는지 게다가 사용법도 새롭게 익혀야 하니 귀찮았던 경우도 꽤 있었던 것 같습니다.
저는 굳이 버스 실시간 도착 앱을 다운받지 않아도 되었습니다. 저는 이미 네이버 맵이나, 카카오 맵 앱을 사용 중이었고 해당 앱에서 실시간 버스 도착 시각도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
아래 이미지와 같이 네이버 맵 어플에서 출발지와 도착지를 입력하면 지하철, 버스, 도보, 자전거 등 다양한 경로가 표시됩니다. 이곳에서 버스 메뉴를 눌러 보시면 150번 버스의 실시간 도착 정보가 표시됩니다. 150번 버스는 방학역에서 1분 있으면 오는군요.
신호나 길이 막혀 약간의 차이는 있지만 대체로 정확합니다. 대부분 서울 버스 정류장엔 도착 시간이 표시되는 전광판이 있지만, 미리 알고 있으니 유용합니다.
굳이 앱을 사용하지 않고 스마트폰 브라우저 인터넷을 이용해 네이버 길 찾기나 카카오 길 찾기를 이용해 버스의 실시간 도착 정보를 확인할 수 있지만, 웹의 특성상 실시간으로 도착 시각을 확인하려면 페이지 새로 고침을 하거나 도착 시각도 애플리케이션에 비해 정확하지 않았기에 스마트폰 애플리케이션을 사용하시는 것을 추천합니다.
중앙 버스 정류장이 아닌 인도에 있는 버스 시간도 확인 가능했으며 정류장 표지판에 버스 도착 시각도착 시간 정보가 고장이나 표시가 안 되는 상황에도 유용할 것 같습니다.
정류장에 표시되는 도착 시각 전광판은 고장이 났지만, 애플리케이션 버스 도착 시각은 정상적으로 표시되었습니다.
마을버스도 실시간 버스 도착 시각이 표시되는지 궁금해 확인해 해봤습니다. 마을버스 실시간 도착 시각도 잘 표시되었고 시간도 대체로 정확했습니다.
마지막으로 카카오맵 앱에서도 실시간 버스 도착 시각 정보를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아래 이미지와 같이 네이버 맵 앱에 비해 초 단위 까지 표시되고 글자도 조금 큰 것 같아 눈에 띄어 보기 좋은 것 같습니다.
제가 사는 곳이 서울이라 서울에서 직접 테스트하며 작성하였지만, 일부 서울 지역이나 다른 도시에서는 시간이 정확히 표시 안 될 가능성도 충분히 있을 것 같습니다.
개인적으로는 모르는 길을 찾아갈 때 주로 사용하는 앱이다 보니 카카오맵/네이버맵 애플리케이션에 실시간 버스 도착 시각이 표시되어 다른 앱을 받지 않아도 되니 편하고 좋았으며 자주 활용할 것 같습니다. 물론 실시간 버스 도착 관련 앱을 이용하게 되면 좀 더 상세한 정보를 확인할 수 있겠지만 제가 스마트폰을 사용하는 패턴에서는 맵 앱을 활용하는 게 더 편한 것 같습니다. 혹시라도 모르고 계셨던 분들은 참고하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점점 시간이 빠르게 가는 것 같습니다. 인증서를 갱신하기 위한 방법은 여러 가지 방법이 있습니다. PC 키움증권 사이트, 영웅문S, 영웅문S글로벌, HTS 프로그램 개인적으로 자주 사용하는 영웅문S 글로벌을 앱을 이용해 인증서 갱신을 진행해 보려고 합니다.
자주 사용하시는 기기에서 인증서를 갱신하셔야 합니다. 그렇지 않으면 스마트폰에서 인증서 갱신을 하였다고 해도 PC에서 사용하려면 추가로 핸드폰에서 인증서를 복사하는 과정을 또 거쳐야 하므로 귀찮습니다. 어쨌든 저는 자주 사용하는 영웅문S 글로벌(해외 주식 거래용) 앱을 이용해 진행했습니다.
하단에 메뉴 버튼을 누르시고 중간에 업무 메뉴 선택하시고 인증센터 메뉴를 선택 하시면 됩니다. 업무 메뉴가 많다 보니 하단으로 좀 내려가다 보시면 인증센터 메뉴를 찾을 수 있습니다.
상단에 공동인증 메뉴에 인증서 갱신 메뉴가 있습니다. 당연한 이야기지만 인증서 갱신은 1개월 이내에 진행하셔야 됩니다.
인증서 갱신 메뉴에 들어가면 기존에 사용했던 인증서가 표시됩니다. 이곳에 인증서가 표시가 안 되신다면 핸드폰에 있었던 인증서가 삭제되었거나 다른 상황으로 인해 변경된 것이니 PC에서 진행해 보셔야 될 것 같습니다. 어쨌든 표시된 인증서를 선택하시면 됩니다.
인증서 비밀번호 입력 후 인증서 갱신하기 선택.
그럼 인증서 갱신은 사용하던 핸드폰에서 완료는 되었습니다. 그런데 PC 환경에서는 갱신한 인증서로 자동으로 변경되지 않습니다. 저 같은 경우는 돈을 넣거나 뺄 때는 PC에서 주로 합니다. 그렇기에 PC 인증서에도 새롭게 갱신한 인증서가 필요합니다.
PC 인터넷 환경에서 확인해 보니 인증서가 2022년까지로 자동으로 갱신되지 않았습니다. 그렇기에 핸드폰에서 갱신한 인증서를 다시 PC로 가져와야 합니다.
귀찮긴 한데 현재 작성 기준으로 모든 금융업체가 똑같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인증서를 갱신하거나 재발급 받을 때 PC, 핸드폰, 태블릿 등 사용하는 기기에 따라 일일이 복사하고 과정을 추가로 거쳐야 합니다.
PC 인터넷 환경에서 키움증권 사이트에 접속하시고 인증센터 메뉴에서 스마트기기에서 PC로 인증서를 복사하는 메뉴를 선택하시면 됩니다.
그럼 아래 이미지와 같이 12개의 숫자가 표시 됩니다. 이제 핸드폰에서 이 숫자를 입력 후 인증서 보내기 과정을 거쳐야 PC에 인증서 복사가 됩니다.
다시 핸드폰 키움증권S 글로벌 앱 → 업무 → 인증센터 → 공동인증 메뉴에 인증서 보내기(스마트폰->)PC 메뉴를 선택하시면 됩니다.
이제 스마트기기에서 12개의 번호를 모두 입력 후 인증서 보내기까지 완료했으니 확인 버튼을 누르시면 됩니다.
인증서 복사 과정이 모두 끝나면 아래 이미지와 같이 인증서 저장이 PC에서 완료되었다고 표시됩니다.
모든 과정이 끝난 후 PC에 있는 인증서 기간을 확인해 보니 정상적으로 핸드폰에서 갱신한 인증서를 PC로 가져오는 과정까지도 정상적으로 끝냈습니다.
특정 기사 내용을 보니 개인공인인증서 유효기간을 1년에서 3년으로 늘린다는 이야기도 있더군요. 인증서를 갱신할 때 쓸데없는 곳에 시간을 소모한다는 생각이 조금 들기도 합니다. 개인적으로 PC랑 스마트 기기를 모두 사용하고 게다가 금융사도 여러 군데를 사용하다 보니 인증서 갱신하고 PC와 핸드폰에서 인증서를 복사해야 하는 상황이 많이 있습니다. 통합 인증서 개념으로 추가 인증서 등록, 과정, 갱신도 간소화되어 사용할 수 있으면 좋을 것 같다는 개인적인 바람도 있습니다.
개인적으로 동영상을 볼 때 팟플레이어 프로그램을 자주 사용합니다. 팟플레이어 프로그램에서 볼륨 조절이 필요한 경우 키보드의 ↑ ↓ 방향키를 이용해 동영상 소리를 자주 조정 하고는 합니다.
방향키로 음량을 변경하다 보면 기본적으로 5%씩 음량이 조절됩니다. 개인적으로 좀 더 미세하게 소리를 제어하기 위해서 5%의 범위는 좀 높아 보여 설정을 찾아보니 볼륨 기본 설정을 변경할 수 있었습니다. 팟플레이어 프로그램 화면에서 마우스 오른쪽 버튼을 누르시고 소리→재생 볼륨 조절→볼륨 조정 설정 메뉴를 선택하시면 됩니다.
이곳에서 볼륨 조정 단위가 기본적으로 5로 설정되어 있는데 이 영역을 저는 3으로 수정하고 사용합니다. 소수점 자리까지 입력은 안 됩니다.
설정 이후 키보드를 이용해 볼륨을 올리고 내려 보시면 3%씩 조절되어 개인적으로 좀 더 미세하게 사운드 제어할 수 있어 좋은 것 같습니다.
팟플레이어 프로그램을 사용해 볼륨 조절의 기본 세팅을 변경하실 수 있습니다. 인터넷에 정보가 없는 것 같아 정리해 봤습니다. 필요하신 분이 있다면 참고하세요~
PC 환경에서 크롬 브라우저 주로 사용하신다면 음성 및 사운드 등 전체 소리 음소거도 가능하며 특정 사이트만 소리가 나오지 않도록 설정하실 수도 있습니다. 시간이 지나 크롬 브라우저 업데이트가 되어 구조가 변경되어 사용 방법이 변경 될 수 있으나 설정 메뉴에서 소리로 설정을 검색하시면 되니 참고하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크롬 브라우저를 실행 하시고 점3개로 표시된 메뉴 버튼을 선택하시고 설정 메뉴 선택.
설정 메뉴에서 검색을 이용하시면 편합니다. 소리를 검색하시면 여러 가지 메뉴가 나오는데 여기서 사이트 설정 메뉴 선택.
스크롤 하셔서 밑으로 쭉 내려가셔서 추가 콘텐츠 설정 메뉴 선택.
추가 콘텐츠 설정에 소리 메뉴 선택하시면 됩니다. 왠지 소리 메뉴가 설정에서 쉽게 검색되지 않도록 숨겨놓은 느낌이 있네요.
그럼 아래 이미지와 같이 크롬 브라우저의 모든 사이트 소리를 나오지 않도록 설정하시려면 사이트에서 소리를 재생하도록 허용하지 않음에 체크하시면 됩니다.
특정 사이트만 소리가 나오지 않도록 하고 싶으시다면 사이트에서 소리를 재생할 수 있음을 체크 하시고 하단에 추가 메뉴를 선택하시면 됩니다.
그런 뒤에 사이트 주소를 입력하시면 됩니다. 유튜브 사이트를 기준으로 진행해 봤습니다. 사이트 주소 형태가 여러 가지 있지만 어떠한 사이트에서든지 상세 경로를 제외한 메인 페이지 주소를 넣어 주시면 됩니다.
VM VirtualBox 프로그램을 사용해 우분투 운영체제를 설치하려고 하다 보면 항상 하단 화면이 잘리다 보니 처음 우분투 프로그램을 설치할 때마다 불편했던 기억이 있습니다.
설치 단계에서 다음으로 넘어가기 위한 버튼이 보이지 않고 화면을 최대로 올리거나 화면을 조정해도 다음 단계로 넘어갈 수 있는 버튼이 표시되지 않으니 설치 진행하기가 쉽지 않습니다.
먼저 설치 중이었던 VirtualBox 프로그램을 종료 및 전원을 오프 하시고 VirtualBox 프로그램에서 설치한 우분투 가상 머신선택 후 설정 메뉴를 누르시면 됩니다. 설정 메뉴 → 디스플레이 → 그래픽 컨트롤러를 VBoxVGA를 선택 후 확인 버튼을 누르시고 다시 시작 버튼을 선택해 가상머신을 우분투를 실행해 주시면 됩니다.
이제 VirtualBox 보기 메뉴에 창 크기 조정 메뉴를 선택하셔서 창 크기를 늘려 주시면 됩니다.
그럼 아래 이미지와 같이 설치단계에서 하단에 보이지 않던 메뉴 버튼이 표시되어 우분투 설치를 정상적으로 진행할 수 있습니다.
하스스톤 출시한 지 오래된 게임이지만 가끔 투기장을 하는 재미로 아직도 재밌게 하는 게임 중 하나입니다. 그런데 얼마 전에 하스스톤 게임을 실행하면 자꾸 현재 오프라인 상태입니다. 라고 표시되며 게임 진행이 되지 않더군요.
제가 작성한 방법대로 진행해도 한번 게임을 진행한 후 다음 정규전을 진행하면 현재 오프라인 상태입니다라고 또 표시되더군요 그래도 게임 종료후 다시 실행하거나 블리자드 배틀넷 앱 종료후 실행을 하면 한판씩 게임 후 재차 게임 종료 및 재 로그인을 하면 가능하기도 하고 어떨 땐 문제 없이 게임을 계속 하는 경우도 있었습니다.
PC 하스스톤 현재 오프라인 상태입니다. 해결방법
테스트를 해보니 투기장은 정상적으로 되는데 대전 정규전에서는 아래 이미지와 같이 현재 오프라인 상태입니다라고 표시되니 게임을 할 수가 없어 굉장히 불만이 많습니다. 사용자 오류나 버그가 아닌 버전 업그레이드 과정에서 무언가 잘못 업데이트된 것 같습니다.
PC 환경에선 아래 이미지와 같이 블리자드 배틀넷 앱을 이용해 게임을 하실 텐데 이곳에서 프로필을 온라인으로 변경해 주시면 됩니다. 만약 이미 온라인이거나 오프라인, 자리 비움으로 되어 있으시다면 다른 용무 중, 오프라인은 제외하고 변경하신 후 진행해 보시기 바랍니다.
그런 뒤 로그아웃을 한번 해주시면 됩니다. 로그아웃 이후 블리자드 배틀넷 프로그램을 종료하고 다시 로그인하시기를 바랍니다.
저는 블리자드 배틀넷 앱을 종료한 뒤 실행 후 블리자드 로그인을 진행하였습니다.
정규전 게임을 진행해보니 저는 정상적으로 게임이 진행됩니다.
문제는 한번 게임을 하고 다시 게임을 하면 아래 이미지와 같이 또 오프라인 상태라고 표시되는 경우가 있습니다. 이럴 땐 자신의 프로필 상태를 다시 변경하시고 로그아웃 블리자드 배틀넷 앱 종료 후 재차 로그인하시면 대전 정규 게임을 진행하실 수 있습니다. 어떤 경우에는 다시 로그인 과정을 거치지 않아도 게임 종료 후 다시 실행하는 것만으로 게임 진행이 될 때도 있었습니다. 또 어떤 경우에는 대전 정규전 게임이 계속 잘 되기도 합니다.
스마트폰 하스스톤 현재 오프라인 상태입니다. 해결 방법
모바일에서도 하스스톤 게임을 해보니 현재 오프라인 상태입니다. 라고 표시되며 대전 정규전 게임을 할 수가 없습니다. 계속 시도해봐야 진행이 안 되니 취소를 선택하시면 됩니다.